가톨릭 이야기/전례력의 축일과 성인들 썸네일형 리스트형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플로렌티나 - 8월 28일 출처 : 가톨릭 굿뉴스 성녀 플로렌티나는 성 레안데르(Leander, 3월 13일), 성 풀젠시오(Fulgentius, 1월 14일), 성 이시도로(Isidorus, 4월 4일)와 남매간으로 에스파냐 남동부 카르타헤나(Cartagena)에서 태어났다. 이들 남매는 모두 나중에 성인 · 성녀의 품에 올랐다. 에스파냐계 로마인 귀족 가문에서 4남매 중 둘째로 태어난 그녀는 549년경 서고트족(Visigoths)의 침입으로 도시가 파괴되자 가족과 함께 에스파냐 남서부의 세비야로 이주하였다.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 큰 오빠인 성 레안데르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한 성녀 플로렌티나는 수도승이 된 오빠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금욕적인 삶을 받아들였다. 그녀는 수도 생활을 원하는 처녀들을 모아 공동체를 형성했고, 남동..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비그베르토 - 8월 13일 성 비그베르토(Wigbertus, 또는 비그베르투스)는 젊어서 세상을 멀리하고 수도생활을 시작하였다. 성 보니파티오(Bonifatius, 6월 5일)가 그를 초청하여 독일 민족의 개종을 돕게 한 후에 카셀(Kassel)에서 5km 정도 떨어진 프리츨라 수도원의 원장으로 임명하였다. 그 후 그는 독일 중부 튀링겐(Thuringen)의 오르트루프(Ohrdruf)로 옮겨갔는데 그는 이 두 곳의 수도원을 모두 성공적으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그의 전기 작가는 그의 일상생활보다는 기적을 많이 기록해 놓을 정도로 초자연적인 은총을 많이 받은 듯하다. 그는 지나친 단식과 엄격한 생활로 인하여 운명했다고 한다. 그는 위그베르투스로도 불린다.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호르미스다 교황 - 8월 6일 이탈리아 중부 프로시노네(Frosinone)의 부유한 귀족이었던 유스투스(Justus)의 아들로 캄파니아(Campania)에서 태어난 성 호르미스다는 결혼한 지 얼마 후에 아내를 잃고 홀로 되었다. 514년 7월 20일 성 심마코(Symmachus, 7월 19일)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 당시 그는 로마에서 교황 성 심마코의 부제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교황의 후계자로 지명된 듯 하다. 그의 재임 기간에 가장 돋보이는 일은 아카키우스(Acacius) 이단을 종식시킨 것이었다. 당시 콘스탄티노플 교회가 로마와 재결합한 것은 아카키우스를 공식으로 단죄하고 로마 주교좌의 수위권과 무류성을 이구동성으로 선언한 '호르미스다의 신앙고백문'의 결과였다. 여기에는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인 요한 2세(Joa..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녀 논나 - 8월 5일 자세한 전기는 알 수 없으나 성녀 논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그레고리오(Gregorius)란 사람과 결혼했는데, 남편은 카파도키아(Cappadocia)의 나지안조의 지사였으며 유대인 이교인 그룹의 주요 멤버였다. 그녀는 오로지 자신의 표양만으로 남편을 그리스도인으로 개종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제가 되게 하였고, 그 후에는 주교까지 된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1월 1일)를 후원한 장본인이다. 그녀의 세 아이들 역시 모두 성인이 되었다. 나지안조의 성 그레고리오(1월 2일), 나지안조의 성 체사리오(Caesarius, 2월 25일) 그리고 성녀 고르고니아(Gorgonia, 12월 9일)가 그들이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기념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 주교 학자 - 8월 1일 성 알폰소 마리아 데 리구오리(Alfonsus Maria de Liguori)는 1696년 9월 27일 이탈리아의 나폴리(Napoli) 근교 마리아넬라(Marianella)에서 주세페(Giuseppe de Liguori)와 안나 카발리에리(Anna Cavalieri) 사이의 7남매 중 맏이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나폴리의 유서 깊은 귀족 가문이었다. 아버지 주세페는 나폴리 공국의 해군이었으며 어머니는 트로야(Troja)의 카발리에리 주교의 동생으로 신앙심 깊은 사람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였던 성 알폰소는 불과 16세 나이로 나폴리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아 변호사가 되었다. 그 후 몇 년 동안 변호사로 일하면서 결코 패소하지 않는 변호사로 널리 알려졌다. 1723년 토스카나(Toscana) ..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기념일> 성 이냐시오 데 로욜라 사제(로욜라의 성 이냐시오) - 7월 31일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Dubrovnik)의 성 이냐시오 성당(Saint Ignatius Church) 제대 천장 프레스코화 모습 출처 : 굿뉴스(https://maria.catholic.or.kr/sa_ho/album/album_view.asp?menugubun=saint&infogubun=info&Orggubun=101&bbsgubun=album&infoid=2239&id=46625&bbscount=92&ctxtSubMenu=album&key=&keyfield=&page=1) 성 이냐시오는 1491년에 에스파냐 북부 기푸스코아(Guipuzcoa) 지방의 아스페이티아(Azpeitia) 읍 위쪽의 로욜라 성(城)에서 아버지 벨트란 야네즈 데 오냐즈 이 로욜라(Beltran Yanez de Onaz y L..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베드로 크리솔로고 주교 학자 - 7월 30일 주세페 밀라니(Giuseppe Milani)의 성 로무알도(Romualdus, 좌)와 라벤나의 성 베드로 크리솔로고(Petrus Chrysologus, 중)와 오스티아의 성 베드로 다미아니(Petrus Damiani, 우) 출처 : 굿뉴스(https://maria.catholic.or.kr/sa_ho/album/album_view.asp?menugubun=saint&infogubun=info&Orggubun=101&bbsgubun=album&infoid=974&id=33717&bbscount=6&ctxtSubMenu=album&key=&keyfield=&page=1)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의 이몰라(Imola) 출신인 성 베드로 베드로 크리솔로고(Petrus Chrysologus)는 이몰라의 주교 코르넬..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기념일> 성 라자로 - 7월 29일 아르투스 올포트(Artus Wolffort)의 라자로(Lazarus)의 소생 출처 : 굿뉴스(https://maria.catholic.or.kr/sa_ho/album/album_view.asp?menugubun=saint&infogubun=info&Orggubun=101&bbsgubun=album&infoid=372&id=63262&bbscount=51&ctxtSubMenu=album&key=&keyfield=&page=4) 요한 복음 11~12장에 의하면 성 라자로(또는 라자루스 )는 예루살렘 부근 베타니아에 살던 성녀 마르타(Martha)와 성녀 마리아(Maria)의 오빠로서 예수님의 친구였고, 병으로 인해 죽은 뒤 무덤에 있다가 예수님에 의해 다시 살아난 사람이다. 예수님께서는 이미 죽은 지 나흘이..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