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여행

[부산 여행] 옥련선원 - 미륵성지

반응형

* 한국 고유 불교 문화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곳, 옥련선원 *
대한불교조계종의 직할교구인 조계사의 말사이다. 창건 시기와 창건자는 알 수 없다. 670년(문무왕 10) 원효가 백산사라 이름을 정하고, 910년(성덕왕 9)에는 최치원()이 이 절에 은둔하여 참선하였다는 유서 깊은 고찰이다. 서기910년(성덕왕9년)에 최고운선생이 백산사에 은둔하여 참선했다. 1635년(인조13년) 해운선사가 옥련암을 개칭 하였으며, 1976년 대웅전을 중창하면서 옥련선원으로 개칭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92년 50척 높이의 미륵대불을 세웠으며 미얀마의 고승인 우의자난다 스님이 가져온 세존 진신사리 12과와 미륵 삼부경을 봉안한 유서깊은 곳이다. 또한 한국 고유의 불교, 문화, 예술 및 건축사의 추이를 이해하는데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찰로 1998.10.17 전통사찰 제28호로 지정되었다. 삼국시대의 마애미륵석불과 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되는 부석불석상 등 여러 가지 탱화가 있다.
 
* 옥련선원의 유물 *
유물로는 삼국시대의 마애미륵석불 및 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추정되는 부석불석상이 있다. 또, 1992년 1,500톤의 화강석으로 제작한 약 15m 높이의 미륵대불이 있다. 이 불상은 국내 최대의 석조 좌불상으로 법주사의 은진미륵과 함께 한국 불교의 명물로 꼽힌다. 이밖에 진신사리 5과를 모신 사리탑과 임진왜란 때 죽은 무명고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임진왜란 천도비가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옥련선원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건립 경위 및 변천

옥련선원()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으나 670년 원효()가 백산사()로 이름을 정했다는 설이 있으며, 910년에 최치원()이 백산사에서 은둔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백산은 동래 지역의 진산()으로 지역민의 신앙의 장소였다. 백산의 관덕암()은 특히 자손 번창을 위한 영험 있는 기도처였다고 전해지며 관덕암 마애 여래상은 지금도 남아 있다. 또한 백산은 조선 시대 경상 좌수영의 중요한 군사적 기지이기도 하다. 백산의 정상에는 적을 살피는 누대()라는 첨이대()가 있었다고 한다.

이렇듯 신앙적으로나 군사적으로 중요한 백산의 사찰은 1635년(인조 13) 해운선사가 옥련암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6년에는 주지 현진()이 보현전을 중창하면서 옥련선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이어서 1985년 옥련유치원을 지었고, 1992년 석조 미륵 대불을 봉안하였다. 정월 대보름이면 대규모 달집태우기 등 연례행사를 치르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옥련선원의 가람 구성은 1976년에 중창한 보현전을 비롯하여 그 이후에 건립한 대웅전·심우전·내원정·수련정·연마실·범종각을 비롯해 옥련 회관과 부속 유치원으로 되어 있다. 대웅전 안에는 관세음보살상과 지장보살상이 봉안되어 있고 신중탱화와 관음 탱화가 있다. 심우전은 선방()으로, 내원정은 신도회 사무실로, 보현당과 수련정은 요사로 사용하고 있다.

관덕암의 마애 지장보살 좌상은 조성 연대에 대해서 논란이 있으나, 대체로 조선 후기[17~18세기] 작품으로 보며, 부산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없는 마애불의 형태를 띠고 있다. 얼굴과 머리 부분을 음각으로 표현하고 다른 부분은 양각으로 표현하고 있는 점 역시 드문 기법이라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현재 상태는 거꾸로 뒤집혀져 있다. 또 1992년 1,500톤의 화강석으로 제작한 약 15m 높이의 미륵 대불이 있다. 이밖에 진신 사리 5과를 모신 사리탑과 임진왜란 때 죽은 무명 고혼()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운 임진왜란 천도비가 있다.

 

관련 문화재

관련 문화재로 옥련선원 마애 지장보살 좌상[부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7호]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옥련선원 [玉蓮禪院]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3월이 시작되는 첫 날,
정말 오래 전부터 가봐야지 생각만 하고 가보지 못했던...
그 오래 전이 얼마나 오래 전인가 하면
중학교 2학년 때 이곳에 와서 거대한 불상을 보고서
"우와." 했던 기억이 생생한 무려 20년도 더 된 오래 전이다.
또 이곳이 얼마나 먼 곳인고 하니
버스로 몇 시간, 기차로 몇 시간 걸리는 거리면 좋겠지만
걸어서 달랑 30분...ㅠㅠ
과거야 어찌되었건 오늘 정말 가보고 싶었던 곳, 옥련선원으로 향했다.

 

남무관세음보살,
우리가 나무관세음보살이라고 알고 있는 보살의 실제 이름이다.
물론 한자로 음역한 것이긴 하지만...

 

순례 순서

16.일주문 → 11.불이문 → 1.대웅전 → 3.심우전(선방) → 4.범종각 → 5.사적비 → 6.극락교석탑 → 8.삼성각 → 7.사리탑 → 10.미륵대불 → 9.마애지장보살좌상(문화재) → 13.래원정(종무소)

 

 

 

 

봄의 기운이 싹트기 시작한다.

 

 

야트마한 동산이어서 등산화를 신지 않아도 된다.
석등들이 곳곳에 있고 석등들을 지나치면 일주문이 보인다.

 

백산옥련선원
이 동산도 산이라고 이름이 백산이다.

 

 

사천왕상 대신 입구에 우황룡, 좌청룡이 있다.

 

기와로 만든 토담길을 따라 조금만 더 올라가자.

   

임선열금보현화공덕비

 

매화꽃이 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다.

 

 

 

 

 

 

 

 

 

 

 

 

 

 

 

일주문 앞의 여섯마리의 사자상

 

지장보살

 

 

 

 

약수터 모습

미륵성지

 

 

일주문

 

 

 

 

 

 

 

 

 

대웅전

   

대웅전의 출입문

 

 

 

 

 

 

 

심우전(선방)

  

범종각 

    

 

사적비 앞의 소나무

 

 

 

 

 

 

극락교석탑

 

 

 

 

 

삼성각

 

 

 

사리탑

 

사리탑 뒤의 석상(원숭이)

 

 

 

 

 

 

 

 

 

 

미륵대불

   

 

 

  

  

 

미륵대불을 지키는 해태

 

  

 

 

 

 

 

  

 

마애지장보살좌상(문화재)

 

마애미륵석불

여기는 삼국시대부터 백산사가 있었던 곳이다. 이 마애불은 그 때 조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 불상은 미륵불의 좌상이다. 조각 수법은 선각으로 섬세하고 정치했으나 지금은 마별이 심해서 그 원형을 찾아보기 힘들다. 어느 때에 벼락이 쳐서 돌이 거꾸로 누워 현재 위치로 놓이게 되었다. 원래 이 도량은 미륵부처님의 용화세제를 지향하는 사찰로 오래도록 전해져 온 것이다.

 

마애지장보살좌상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

소재지 :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327-2(옥련선원)

마애지장보살좌상은 조선후기(17-18세기)에 조성된 마애보살상으로써 부산지역에서는 흔희 볼 수 없는 마애보살상인 동시에 상호와 머리 부분을 음각으로 표현하고, 다른 부분은 양각으로 표현하고 있어 조선시대 뿐 아니라 우리나라 조각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써 문화재적 가치가 평가되며, 아울러 경상좌수영과 관련하여 해난구제와 수군의 귀의불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도 깊은 자료이다.

 

 

 

 

래원정(종무소)

   

 

2013.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