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톨릭 이야기/전례력의 축일과 성인들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팟지의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동정 - 5월 25일 출처 : 가톨릭 굿뉴스 이탈리아 피렌체(Firenze)의 최고 명문가인 팟지 집안에서 태어난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Maria Magdalena)는 태어난 다음날 카타리나(Catharina)라는 본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어릴 때부터 선행과 신심생활에 큰 관심을 보여 아이들을 모아 놓고 기도와 교리를 가르치기도 하고 성당에서 자주 기도하였다. 예수님의 수난을 묵상하기를 좋아했던 그녀는 무엇보다도 성체께 대한 사랑과 존경을 가지고 있었는데, 영성체를 간절히 원하여 특별 관면을 받고 10세 때에 첫영성체를 하고, 12세 때 동정 서원을 하였다. 그 후 피렌체에 있는 산 조반니노(San Giovannino) 수녀원 학교에 다니면서부터 더욱 열렬한 신앙인이 되었고 수도 성소의 뜻을 굳혀 나갔다. 부친은 딸을 결혼시..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레명 축일] 성 그레고리오 7세 교황 - 5월 25일 출처 : 가톨릭 굿뉴스 출처 : 가톨릭 굿뉴스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의 소바나(Sovana)에서 가난한 집안의 아들로 태어난 성 그레고리오(Gregorius)는 힐데브란트(Hildebrand)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어린 시절 로마(Roma)로 가서 삼촌이 아빠스로 있던 아벤티노(Aventino)의 성 마리아 수도원에서 성장하였다. 그는 라테라노(Laterano) 학교에서 지오반니 그라시아노의 문하생으로 공부하였는데, 그의 스승이 후일 그레고리오 6세 교황(1045-1046년 재임)이 되었을 때 교황 비서로 임명되었다.그 후 1047년에 그레고리오 6세 교황이 선종하자 그는 성 오딜로(Odilo, 1월 1일)가 지도하던 클뤼니(Cluny) 수도원에 머물렀다는 말도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전례력] 주님 승천 대축일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405872&cid=46702&categoryId=46753   예수님께서 부활하시고 40일째 되는 날 하늘로 올라가셨음을 기념하는 날이다. 한국 교회는 이날을 부활 제7주일로 옮겨 지낸다. 그리고 교회는 이날을 홍보주일로 정하여 대중 매체를 통한 교회의 선교 사명을 기억하고 독려한다.부활하신 예수님께서는 40일 동안 제자들에게 하느님 나라에 관해 말씀해주시고 그들에게 강복하시며 하늘로 올라가셨고, 그로부터 9일 뒤에 사도들은 성령을 받는다. 신약에서 주님 승천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강복하시며 그들을 떠나 하늘로 올라가셨다. 그들은 예수님께 경배하고 나서 크게 기뻐하며 예루살렘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줄곧 성전에서 하..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카시아의 성녀 리타 수도자 - 5월 22일 이탈리아 중부 움브리아(Umbria) 고원 남단에 위치한 스폴레토(Spoleto) 부근 로카포레나(Roccaporena)에서 태어난 성녀 리타는 어려서부터 수도성소에 관심을 가졌지만 부모의 반대로 말미암아 12세의 어린 나이로 원하지 않았던 결혼을 하여 두 아이를 두었지만 18년간의 결혼생활은 불행하였다. 남편은 어린 아내를 학대했을 뿐만 아니라 결국은 어떤 사람과의 싸움 끝에 살해당하고 말았다. 그 후 두 아들마저 죽게 되자 성녀 리타는 카시아의 성 아우구스티누스회에 세 번이나 입회 신청서를 냈지만 미혼이 아니라는 이유로 번번이 거절당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강한 믿음과 인내는 결국 예외를 만들어 1413년 카시아에 있는 산타 마리아 막달레나의 아우구스티누스회에 입회 허락을 받아내었다.그녀는 지난날의 생.. 더보기
성 크리스토포로 마가야네스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명단 성 크리스토포로 마가야네스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1. 다비드 갈반 베르무데스(David Galvan Bermudez)2. 다비드 롤단 라라(David Roldan Lara)3. 다비드 우리베 벨라스코(David Uribe Velasco) 4. 로드리고 아길라르 알레만(Rodrigo Aguilar Aleman)5. 로만 아다메 로살레스(Roman Adame Rosales)6. 루이스 바티스 사인스(Luis Batiz Sainz) 7. 마누엘 모랄레스(Manuel Morales)8. 마르가리토 플로레스 가르시아(Margarito Flores Garcia)9. 마테오 코레아 메가야네스(Mateo Correa Megallanes) 10. 미겔 데 라 모라(Miguel de la Mora) 11. 사바스 레예스 ..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크리스토포로 마가야네스 사제 - 5월 21일 출처 : 가톨릭 굿뉴스 크리스토발 마가야네스 하라(Cristobal Magallanes Jara)로도 알려진 성 크리스토포로 마가야네스 하라(Christophorus Magallanes Jara)는 멕시코 혁명정부의 부당한 종교 탄압에 저항해 발생한 크리스테로 전쟁(the Cristero War, 1926-1929년) 중에 반란을 선동했다는 날조된 혐의를 받고 미사를 봉헌하던 중에 체포되어 재판도 없이 죽임을 당한 순교자로서 가톨릭 교회에서 공경을 받고 있다. 그는 1869년 7월 30일 멕시코 서부 할리스코(Jalisco) 주(州)의 토타티케(Totatiche)에서 농부였던 라파엘 마가야네스(Rafael Magallanes)와 클라라 하라(Clara Jara)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 목동으로 일..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시에나의 성 베르나르디노 사제 - 5월 20일 출처 : 내셔널갤러리(http://www.nationalgallery.org.uk/paintings/giorgio-schiavone-saint-bernardino) 성 베르나르디노(Bernardinus)는 1380년 9월 8일 이탈리아 시에나 근방 마사 마리티마(Massa Marittima)에서 정치가였던 아버지 톨로 델리 알비체스키(Tollo degli Albizzeschi)와 어머니 네라 델리 아베두티(Nera degli Avveduti)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3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다시 3년 뒤 아버지마저 여의고 고아가 되어 친척에게 맡겨져 양육되었다. 1391부터 1397년까지 시에나에서 인문학과 철학을 공부한 후 그곳 대학에서 3년 간 교회법을 배운 그는 라틴어 고전뿐만 아니라.. 더보기
[천주교, 가톨릭 세례명 축일] 성 요한 1세 교황 순교자 - 5월 18일 출처: 위키백과(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4/Pope_John_I.jpg)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Toscana) 태생인 성 요한(Joannes)은 로마(Roma)의 원로 부제였다가 523년 8월 13일에 교황 성 호르미스다(Hormisdas, 8월 6일)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동로마제국 황제였던 유스티누스 1세가 아리우스주의자들에 대하여 이단 척결을 앞세워 박해하자, 아리우스주의자이면서 동고트족(Ostrogoths)과 이탈리아의 왕인 테오도리쿠스(Theodoricus)가 교황 요한 1세에게 도움을 청했다. 즉 그에게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로 유스티누스 1세 황제를 직접 찾아가 아리우스주의자들의 건물 압수와 강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