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이야기/오늘 묵상 이야기

마태오 15,21-28 - 여인의 믿음

반응형

마태오 15,21-28

그때에 예수님께서 티로와 시돈 지방으로 물러가셨다.

그런데 그 고장에서 어떤 가나안 부인이 나와,

“다윗의 자손이신 주님, 저에게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제 딸이 호되게 마귀가 들렸습니다.” 하고 소리 질렀다.

예수님께서는 한마디도 대답하지 않으셨다. 제자들이 다가와 말하였다.

“저 여자를 돌려보내십시오. 우리 뒤에서 소리 지르고 있습니다.”

그제야 예수님께서

“나는 오직 이스라엘 집안의 길 잃은 양들에게 파견되었을 뿐이다.” 하고 대답하셨다.

그러나 그 여자는 예수님께 와 엎드려 절하며, “주님, 저를 도와주십시오.” 하고 청하였다.

예수님께서는 “자녀들의 빵을 집어 강아지들에게 던져 주는 것은 좋지 않다.” 하고 말씀하셨다.

그러자 그 여자가

“주님, 그렇습니다. 그러나 강아지들도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하고 말하였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그 여자에게 말씀하셨다.

“아, 여인아! 네 믿음이 참으로 크구나. 네가 바라는 대로 될 것이다.”

바로 그 시간에 그 여자의 딸이 나았다.

 

 

여인의 믿음의 근원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그것은 딸이 마귀가 들렸다는 것.

예수님은 딸을 낫게 해 주실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녀의 그 믿음은 예수님의 마음을 움직이게 했고

외국인이었던 그녀의 바람을 예수님께서는 들어주십니다.

그 이후에 그녀가 예수님을 계속 따랐는지는 알 수 없으나

딸과 행복하게 오래오래 잘 살았겠지요.

자기 딸을 낫게 하겠다는 그 하나의 바람으로 예수님께 간절히 청하는 모습...

내 믿음의 근원은 무엇일까?

어쩌다가(^^;;) 내가 예수님을 믿게 되었을까?

왜 예수님을 믿고 있는걸까?

정답을 모르겠습니다.

내가 왜 예수님을 믿고 있지?

한 시간, 두 시간 오랜 시간을 성체 앞에 앉아서 생각해봐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지금 내가 예수님을 믿고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쭉 믿어왔고 그리고 앞으로도 쭉 예수님을 믿을 것입니다.

그 믿음으로 예수님께서 걸으신 그 길 따라 이 세상에서 살 것입니다.

 

한편,

"주님, 강아지들도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그녀의 간절함을 느낄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 복음을 묵상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간절한 기도가 그립다."라는 것이었습니다.

요즈음 전 너무나 행복하게, 간절함없이 잘 살고 있습니다.

참 행복합니다.

하루하루가 즐겁고 기쁘고 참 좋습니다.

행복하고 모든 것이 좋은 상태,

감히 말씀드리는 것인데, 전 지금 하늘나라에서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결혼, 한 여자를 만나 가정을 꾸렸습니다. 

정말 이상하게도 간절한 기도가 사라졌습니다.

나날이 행복한 생활이 이어지고 있고 나의 여인과 함께 늘 행복하게 지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간절한 기도를 했던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면,

지금 나의 삶은 기도없는 삶으로 여겨지기까지 합니다.

기도하지 않는 삶을 살고 있다고 내 스스로 생각하다보니

이 행복한 삶이 죄스럽게 생각들기도 했습니다.

"간절한 기도를 하지 않기 때문에 기도하지 않는다."라고 생각하며

죄를 짓고 있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간절한 기도에 대한 딜레마에 빠지지 않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전 지금의 삶을 즐기고 있습니다.

행복한 삶 안에서 나오는 행복한 기도, 비록 간절한 기도는 아닐지라도

지금의 기도가 "하느님 감사합니다."라는 기도 말고는 드릴 기도가 없지만

 - 있다면 "지금의 삶이, 지금의 기도가 계속 될 수 있도록 해 주세요."라는 기도겠지요. -

언젠가  -  내일 당장 닥칠 수도 있는 간절한 기도가 필요한 상황이 올 수도 있겠지요. -

간절한 기도를 시작하게 되겠지요.

그 때가 올 때까지 전

이 시간을 즐길 것입니다.

이 순간을 즐길 것입니다.

이 행복한 기도를 즐길 것입니다.

"기도하지 않겠다."가 아니라

이 행복을,

이 행복한 순간을,

행복한 나날을 즐기며

하느님께 찬미와 감사의 기도를 드릴 것입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2015.8.8.

반응형